서양철학은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자연의 학생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철학(Philosophy)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필로소피아(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지혜는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를 관장하는 모든 지식을 의미합니다.
세계관이나 인생관, 가치관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서양철학은 기원전 6세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은 소크라테스 이전에 사상가들로 그리스에서 활동을 했습니다. 서양 철학은 세 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대 시대는 기원전 6세기 탈레스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그리스 철학 학파가 주를 이루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플라톤과 그의 학생인 아리스토텔레스 가 플라톤 아카데미를 설립했습니다. 그곳은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학교입니다. 그러면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페리 파테 학파를 설립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은 여러 주의들이 있습니다
냉소주의, 키레네 주의, 스토아주의 및 학문적 회의론이 그것들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동시대 사람인 데모크리토스의 영향을 받은 다른 두 가지 전통이 있습니다: 피론 주의와 에피쿠로스주의입니다. 그리스인들이 다룬 중요한 주제에는 형이상학. 우주론, 잘 사는 삶의 본질, 지식의 가능성, 이성의 본질(로고스) 등이 있습니다. 로마 제국의 부상과 함께 그리스 철학은 키케로와 세네카와 같은 로마인들에 의해 라틴어로 점점 더 많이 논의되었습니다
중세 시대는 기독교의 부상에 의해 주도된 시기로서 서로마 제국이 망한 후를 5세부터 16세기를 말합니다
그리스-로마 사상을 계속 유지하셤서도 신학적 관심사를 잃지 않는 시기입니다. 신앙과 이성의 본질, 형이상학, 악의 문제, 신의 존재와 그 본질에 관한 문제들이 논의되던 시대였습니다. 어거스틴, 토마스 아퀴나스, 보에티우스, 로저 베이컨, 안셀름 등이 중세 시대의 중요 사상가들입니다. 이들에게 철학은 신학을 보조하는 정도로만 생각됐습니다. 성서에 대한 해석과 내용을 철학에 일치시키려고 애를 썼습니다. 중세 대학에서는 스콜라주의가 발전했습니다. 스콜라주의란 텍스트를 면밀히 읽고 논쟁을 벌이는 텍스트 비평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시대는 휴머니즘과 고전 그리스-로마 사상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는 시대였습니다
현대철학자에는 임마누엘 칸트가 있습니다. 현대철학자로서 가장 명망 있는 철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철학자에는 요한 게오르크 하만, 테오도르 고틀리프 폰 히펠, 칼 고트프리트 하겐 , 크리스티안 야콥 크라우스등이 있습니다
토마스 홉스와 르네 데카르트가 현대 철학의 대표 철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연과학이 발전하고 성장함에 따라 합리적이고 세속적인 부분에 더욱 많은 관심을 두게 되었었습니다. 과학이 발전되면서 철학에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전통적인 권위 구조인 교회와 스콜라 사상과는 멀어지는 시기였습니다. 현대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에는 버클리, 흄, 칸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로크 등이 있습니다.
계몽주의라고 불리는 18세기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철학은 후기 근대철학이라고도 불립니다. 헤겔은 독일 이상주의의 핵심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키에르케고르는 실존주의의 기초를 발전시킨 인물입니다. 토마스 칼라일은 위대한 인간 이론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니체는 반기독교인 철학자입니다. 존 스튜어트 밀은 공리주의를 주장한 학자입니다. 칼 마르크스와 미국의 윌리엄 제임스는 공산주의의 기초를 발전시킨 인물들입니다. 20세기에는 현상학, 실존주의, 분석철학, 대륙철학, 논리적 실증주의, 실용주의, 등으로 철학적 경향이 세분화되었습니다.
온톨로지와 인식론: 현상과 자연에 대한 다양한 관점 (확장) (0) | 2023.05.20 |
---|---|
언어와 마음을 다루는 철학 (0) | 2023.05.13 |
철학과 인간의 선악에 대해 알아봅니다 (0) | 2023.05.13 |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5.13 |
서양 철학의 역사와 발전:시간을 가로지르는 탐험 (2) | 2023.05.13 |
댓글 영역